* 가비아 도메인 연결
- 비용 : 비용은 무료라고 되어 있지만.. 한달에 대략 1000원이 부과될 수도 있습니다
- AWS Route53에서도 도메인을 구매할 수 있지만 이미 가비아로 도메인을 구매했기 때문에 연결 해 주었어요
📌 메인 > 검색창 > ' route 53 ' 검색
📌 호스팅 영역 > 호스팅 영역 생성
📌 호스팅 영역 생성
: 구입한 도메인을 입력하고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퍼블릭 유형으로 설정
📌 호스팅영역 > '도메인 이름' 클릭 > 호스팅 영역 세부 정보 확인
: 이후 레코드 유형 NS(네임서버), SOA로 생성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음
* 밑에 사진은 발급 완료 된 호스팅 영역이라 레코드수가 4로 나오지만 일반적으로는 2로 나옵니다!
< 가비아로 넘어가서!!! >
📌 로그인 > 서비스 관리 > 도메인 통합관리툴 > 전체 도메인
📌 네임서버를 설정할 수 있는 페이지가 나타남
⭐ DNS인증을 위해서 네임서버 설정 필요!!!!
📌 네임서버 설정
: 특정 네임서버가 ip와 연결해줌
1. 호스트 영역 세부정보에 NS의 4개 값을 1, 2, 3, 4차에 넣어줌
2. 소유자 인증(필수)
3. 적용
네임서버를 등록했다면 AWS (AWS Cerificate Manager) 서비스로 들어감
❓ Certificate Manager란?
웹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SSL/TLS인증서를 발급 및 관리해주는 서비스
SSL란 웹사이트에서 나가고 들어오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 기능을 가진 보안 인증서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제3자가 보증해주는 전자문서라고 생각하면 됩니당
⭐ http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SL 인증이 필수!
📌 인증서 요청하기
- 구입한 도메인 이름을 적음 (*.도메인) 으로 입력해 주었습니당
: 서브 도메인을 사용하거나 여러 이유로 인해서 도메인 상위로 들어오는 값들을 모두 허용한다는 뜻 입니다!
- DNS검증을 선택
인증서 발급 요청을 완료 했씀당!!
처음에는 '검증 대기 중' 이고 몇분 뒤에 '발급됨'으로 변경됩니당
요청을 진행하고 '검증 대기 중' 상태에서 검증이 완료되기 위해 CNAME 등록 절차가 필요합니다
📌 ACM - 인증서 나열 > ' 인증서 ID ' 클릭 > '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' 클릭 > 레코드 생성
- Route 53에서 확인 - CNAME 레코드 생성 완료!!!
📌 EC2로 이동 - 로드 밸런서 생성
⭐ 먼저 EC2 인스턴스에서 가용범위 확인!
📌 EC2 좌측 탭 하단 - 로드 밸런서 - 로드밸런서 생성
- load balancer naem : 로드밸런서 이름
- Scheme: 스키마
- IP address type : ip 타입
Network mapping :
VPC :
Mappings: EC2 - 네트워크 - 가용범위 에서 확인한 범위를 필수로 체크하고 외 1개 이상을 체크한다 (최소 2개 체크해야함)
Security groups: 인바운드 규칙 정의와 비슷
=> default로 설정
Listeners and routing
- Protocol : Port => HTTPS : 443
- Create target gruop을 생성해 준다
< Create target gruop >
- Target group 이름 지정해주기
- 저는 기본 포트가 8080 이라서 이렇게 지정해 줬습니당!
- Health checks : 서버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체크해줌 => 저는 체크해주는 path가 없어서 기본값으로 뒀습니다!
📌 체크하고, 포트번호 확인하고, include 누르기!
▼
▼
▼
생성된 Target group을 확인하고
다시 그 전 탭으로 돌아간다!!!! (새로 들어가지말고 크롬 탭에 열려 있으니 이동하세요!!!!)
▼▼ 요기요깅!!
뻉글뺑글 새로고침을 누르면 생성한 target gruop이 나오니까 그걸로 선택하면 됩니다!!!!!!!
⭐(왕중요) 여기서 발급된 인증서를 등록해 줍니다!!
📌 EC2에서 생성한 로드 밸런서를 확인
📌 라우터랑 로드밸런서 연결
- 도메인 이름 클릭~~~
- 레코드 생성하기 누르기!
- 레코드 이름 : 있으면 기재 하고 없으면 안해도됩니당
- 레코드 유형 : A-IPv4
- 별칭 클릭 => 실제 아마존 서비스랑 이어줄 수 있다
- Application/Classic Load Balancer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걸로 했씀돠
- 저는 한국사니까,,,,!! 서울
- 로드밸런스 선택
그럼 끝 !
ㅎㅎㅎㅎ
부족한게 있다면 답글 달아 주세요!
댓글